본문 바로가기
Common Knowledge

향수의 역사 History 4편

by 피터팬0070 2023. 9. 21.
728x90
반응형

3편까지 우리는 향수의 전반적인 역사와 유래, 그리고 향수가 프랑스에서 발달하게 된

시대적 배경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4편은 최종편으로서 향수가 실질적으로 발전하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 루이 14세, 유럽 최초로 조향사를 직업으로 인정한다.

'태양왕'이자, 전생에 기간 동안 3번 목욕을 해 '악취왕'이기도 했던 루이 14세는

1656년 유럽에서 처음으로 조향사들의 길드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프랑스에서

조향사를 처음으로 직업으로 인정하게 된 일이었다. 조향사 길드 이름이 '향수가 밴

장갑을 만드는 사람들(Gantiers-Parfumeurs) 인 것을 보면, 당시 귀족들은 향수를

뿌리거나 바르기도 했지만, 향이 이미 배어 있는 악세사리, 그 중에서도 특히 향이

나는 장갑을 많이 애용했다고 한다.

 

중세시대 길드
유럽 중세시대 길드의 모습

 

■ 루이 15세, 향수 산업을 폭발적으로 성장시키다.

루이 14세 다음으로 루이 15세때는 향수 산업이 더욱 발전하여 귀족들의 향수 천국이

되고, 향수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한다. 당시 루이 15세의 베르사이유 궁전을 일컬어

'향수를 뒤집어 쓴 궁전'(Cour Parfumee) 라고 할 정도였으니 말이다. 또한 그 당시

프랑스 귀족과 왕정에서는 서로에게 향수를 전달하는 전통이 있었다. 초기에는 향수

원료가 너무 비싸서 귀족 외에는 구매를 할 수가 없었고, 향수를 구한다는 것은 귀족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 그 자체이기도 했다. 당시 향수를 선물한다는 것은 받는 사람에 대한

존경과 사랑 고백이기도 했다. 그 사람에게서 가장 좋은 향기가 나고 아름답기를 바라는

것이니까. 이 부분은 지금과 많이 다르지 않은 것 같다.

 

베르사이유 궁전
프랑스 베르사이유 궁전

 

■ 정리를 해보면

프랑스의 시대적 상황과 배경에 대해서는 앞선 1.2.3편에서 모두 나열했다.

흑사병으로 인한 오해에서 시작된 물과의 전쟁, 즉 목욕을 평생 거의 하지 않아 몸에서는

냄새가 진동하기 시작했고, 발달하지 못한 화장실 문화로 인해 프랑스 전역의 길 거리에는

사람 똥 오줌과, 각종 동물들의 배설물, 심지어 해부학을 하고 난 시체들의 썩은 오물들의

뒤엉킴이었다. 왕과 귀족들의 생활처인 베르사이유 궁전마저 화장실이 없어 앞 마당에는

똥, 오줌의 향연이었으며 이것은 곧 하이힐의 발전을 가지고 오게 된 계기이기도 했다.

높은 굽으로 길바닥에 널려져 있는 오물들을 피해야 했으니까. 향수의 발전은 그

이후로도 계속 이어졌는데, 18세기 루이 16세의 아내인 마리 앙뜨와네트 왕비는 프랑스 

혁명 당시 도망가면서도까지도, 마지막 명령으로 당시 프랑스 조향사 중 가장 유명했던

장 프랑수아 우비강(Jean-Francois Houbigant) 의 집에 가서 향수를 리필해 오라는 

것이었다. 그 이후로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화합 합성 향료가 개발되면서, 향수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졌고, 겔랑 가문의 3대인 쟈크 겔랑에 의해 향수의 대중화가 시작됐다.

 

마리앙뚜와네트
루이 16세 아내인 마리 앙뚜와네트

 

쟈크 겔랑
겔랑의 3대 조향사. 쟈크 겔랑 Jacques Guerlain 1874-1963

 

■  지금의 우리는  향을 풍기려고 향수를 사용하지만,

    과거에 그들은 냄새를 가리기 위해 향수를 사용했다.

이렇게 향수는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완전히 다른 형태의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의 마릴린 먼로는, 나는 샤넬 넘버5를 뿌리고 자요, 내 잠옷은 샤넬 넘버 5예요.

즉, 벗고 잔다는 얘기. 당시 세계적인 스타인 마릴린 먼로의 상상을 자극하는 이 광고로

샤넬 넘버 5는 세기의 향수가 된다. 프랑스의 한 여자 영화 배우는 나는 키스 받고 싶은

곳에 미리 향수를 뿌려 놓는다. 이 또한 향수에 대한 몽환적인 이미지를 자아낸다. 

 

마릴린먼로
마릴린 먼로의 샤넬 넘버5. 광고

 

프랑스인에게 가장 중요한 두가지가 있다고 한다. 

하나는. 사소한 걸 굉장히 중요히 하는 것. Taking trivial things seriously.

둘째는. 모순된 주장을 동시에 가질 줄 아는 것. Knowing how to combine opposites.

 

향수에 빗대어 보면, 향수는 지금 향과, 1시간 후의 향이 다르고, 결국 몇시간만 지나면

사라져서 정말 어찌보면 남지도 않는 사소한 것일 수 있는데 500여가지의 성분을 섞어가며

정말 어렵게 만들어내고 있다. 또한 향수는 달콤한 향과, 퀴퀴한 향의 만남이 이루어 졌을 때

폭발적 향이 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러한 프랑스인의 습성과 어울러져 지금의 프랑스 향수

문화가 탄생하고 발전하게 된 것이 아닌가 생각하며 향수의 역사에 대한 총 4편을 이것으로

마치고자 한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잊지말고 좋아요와 댓글, 그리고 구독까지 친구하기. 시간되신다면 광고 한편! 꼭 부탁드립니다.
저 역시 잊지 않고 매일 방문토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